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 3.0
SmartGrid Standardization Framework 3.0
수요반응(DR)(보조 서비스)
수요반응(DR)(보조 서비스)
2.2.1 패키지 개요 및 구성도
비즈니스 패키지명 |
수요반응(DR)(보조 서비스) * 발전량제어, 주파수조정 등 기존 수요감축 서비스를 보조하는 응용DR |
---|---|
가치 제안 | 기존 수요반응 프로그램과 함께 전력계통의 물리적 안정성 및 전기품질의 유질을 위한 보조적인 DR 기술로써, 속응성 자원 확보 등을 통한 유연한 수요반응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|
정책/제도적 준수사항 | Fast DR은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진흥과에서 진행하고 있는 중기형 실증과제 진행 단계로써 정책/제도 수립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임 수요관리 DR 시장과 연계된 전기사업법 시행령, 전기사업법 시행규칙, 전력시장운영규칙, OpenADR 2.0 B, OpenADR 연계를 위한 VEN Guide, 실시간 전력량 감시기기 설치 기준 및 검증 가이드라인(전력거래소),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등의 거래에 대한 지침 등을 참고해야 함 |
중점 추진 영역 |
빠른 응동 속도에 따른 전력감축 모델 및 운영 시나리오 수요자원 보조서비스시장(주파수조정, 공급예비력, 대기예비력) 프로그램에 따른 세부 서비스 응용 모델 |
관련 시스템 유스케이스 |
(UC-DR-S04) 운전상태 제어 (UC-DR-S05) 주파수추종 및 자동발전제어 |
2.2.2 단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
(UC-DR-B03) Fast DR
단위 비즈니스 명 | (UC-DR-BO3) Fast DR | |
---|---|---|
목적 | 최소 10초에서 최대 10분이내에 자동으로 응동하는 수요반응 자원을 토대로 기존 일반 DR 서비스보다 빠른 응동시간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비하여 빠른 대응을 야기함 | |
정보교환 및 요구사항 | 정보교환 | 요구사항 |
등록정보 |
수요반응참여고객 모집 부하별 참여서비스 선정 및 감축가능용량 산정 포트폴리오 구성과 수요반응 참여고객 및 참여부하와 수요반응자원 등록 실시간 모니터링 |
|
자원 감축지시 정보 | OpenADR(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) 2.0b | |
감축요청 정보 |
초단위 전력데이터 검침 및 송신 참여고객 CBL 산정 |
|
모니터링 정보 | 실시간 모니터링 | |
초단위 전력데이터 정보 |
실시간 모니터링 초단위 전력데이터 재산정 |
|
자원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감축 산정 수요반응자원 감축 산정 |
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CBL 산정 참여고객 감축 산정 |
|
자원 정산내역 정보 | 세금계산서 발행, 정산금 송 및 수금 | |
고객 정산내역 정보 | ||
비즈니스 절차 |
|
|
사전조건 |
수요관리사업자는 수요반응참여고객에 RTU(Remote Control Unit) 설치 를 완료하고, 부하 또는 분산자원을 자동제어할 수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수요반응참여고객에 RTU(Remote Control Unit) 설치를 완료하고, 부하 또는 분산자원의 초 단위 전력데이터 및 전력계통 주파수를 수집할 수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등록시험 또는 감축시험에 대한 정보 수신 및 수요반응 참여고객의 초 단위 전력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명시된 첨부서류를 갖추어 전력거래소에 전력거래자 등록을 마쳤다. |
|
사후조건 |
전력거래소는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반응자원 및 수요반응참여고객의 참여 부하를 등록한다. 수요반응사업자는 참여고객의 초단위 전력데이터를 전력거래소에 전송한다. 등록시험과 감축시험의 평가 및 통지와 결과에 대해 후속조치를 취한다. |
|
연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 |
(UC-DR-B03-1) 대기 대체 수요반응 (UC-DR-B03-2) 주파수조정 수요반응 |
(UC-DR-B03-1) 대기 대체 수요반응
단위 비즈니스 명 | (UC-DR-B03-1) 대기·대체 수요반응 | |
---|---|---|
목적 | 전력수급의 균형을 위하여 시스템과 연계되어 10분 이내에 자동제어를 통한 음동이 이루어지는 수요반응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, 수요관리 시스템과 연계되어 10분 이내에 자동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신속한 전력감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| |
정보교환 및 요구사항 | 정보교환 | 요구사항 |
참여등록정보 |
수요반응참여고객 모집 부하별 참여서비스 선정 및 감축가능용량 산정 포트폴리오 구성과 수요반응 참여고객 및 참여부하와 수요반응자원 등록 실시간 모니터링 |
|
자원 감축 지시 정보 | OpenADR(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) 2.0b | |
감축요청 정보 |
초단위 전력데이터 검침 및 송신 참여고객 CBL 산정 |
|
모니터링 정보 | 실시간 모니터링 | |
초단위 전력데이터 정보 |
실시간 모니터링 초단위 전력데이터 재산정 |
|
자원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감축 산정 수요반응자원 감축 산정 |
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CBL 산정 참여고객 감축 산정 |
|
자원 정산내역 정보 | 세금계산서 발행, 정산금 송 및 수금 | |
고객 정산내역 정보 | ||
비즈니스 절차 |
|
|
사전조건 |
수요관리사업자는 수요반응참여고객에 RTU(Remote Control Unit) 설치를 완료하고, 부하 또는 분산자원을 자동제어할 수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수요반응참여고객에 RTU(Remote Control Unit) 설치를 완료하고, 부하 또는 분산자원의 초단위 전력데이터 및 전력계통 주파수를 수집할 수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대기 대체 수요반응에 대한 정보 수신 및 수요반응참여 고객의 초단위 전력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명시된 첨부서류를 갖추어 전력거래소에 전력거래자 등록을 마쳤다. |
|
사후조건 | 수요반응사업자는 전력거래소에 참여 고객의 초단위 전력데이터를 전송하고 전력거래소는 이에 따른 결과를 통보받는다. | |
연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 | (UC-DR-BO3) Fast DR |
(UC-DR-B03-2) 주파수조정 수요반응
단위 비즈니스 명 | (UC-DR-B03-2) 주파수조정 수요반응 | |
---|---|---|
목적 | 발전량과 부하전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일어나는 주파수변동에 대응하여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요자원거래시장에서의 수요반응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| |
정보교환 및 요구사항 | 정보교환 | 요구사항 |
참여등록정보 |
수요반응참여고객 모집 부하별 참여서비스 선정 및 감축가능용량 산정 포트폴리오 구성 및 수요반응 참여고객과 수요반응자원 등록 실시간 모니터링 |
|
자원 감축 지시 정보 | Open ADR(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) 2.0b | |
감축요청 정보 |
초단위 전력데이터 검침 및 송신 참여고객 CBL 산정 |
|
감축요청 정보 |
초단위 전력데이터 검침 및 송신 참여고객 CBL 산정 |
|
모니터링 정보 | 실시간 모니터링 | |
초단위 전력데이터 정보 |
실시간 모니터링 초단위 전력데이터 재산정 |
|
자원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감축 산정 수요반응자원 감축 산정 |
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CBL 산정 참여고객 감축 산정 |
|
자원 정산내역 정보 | 세금계산서 발행, 정산금 송/수금 | |
고객 정산내역 정보 | ||
비즈니스 절차 |
|
|
사전조건 |
수요반응자원은 Ramp Up/Down에 대한 시간이 짧으므로 응동이 빠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수요반응참여고객에 RTU(Remote Control Unit) 설치를 완료하고, 부하 또는 분산자원을 자동제어할 수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수요반응참여고객에 RTU(Remote Control Unit) 설치를 완료하고, 부하 또는 분산자원의 초단위 전력데이터 및 전력계통 주파수를 수집할 수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주파수조정 수요반응에 대한 정보 수신 및 수요반응참여고객의 초단위 전력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. 수요관리사업자는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명시된 첨부서류를 갖추어 전력거래소에 전력거래자 등록을 마쳤다. |
|
사후조건 |
전력거래소에서 지시한 트리거 주파수에 따라 수요반응참여고객은 자동제어를 통해 응동한다. 참여고객의 초단위 전력데이터는 전력거래소로 전송 완료된다. |
|
연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 | (UC-DR-B03) Fast DR |
2.2.3 비즈니스 패키지-스마트그리드 아키텍처(SGAM) 매핑
[DR-02] 수요반응(보조 서비스)
구성요소
비즈니스(목표/목적,정책,규제)
기능
통 신 (프로토콜

그룹 | 구분 | 표준번호 | 표준명 | OSI 계층 구분 |
---|---|---|---|---|
통신 인터페이스 | 4 | IEC 61968-9 | Application integration at electric utilities - System interfaces for distribution management - Part 9: Interfaces for meter reading and control | 세션 계층 (5계층) |
KS C IEC 61968-9 | 전력회사의 어플리케이션 통합 - 배전 관리를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- 제9부 : 검침과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| |||
5 | ISO/IEC 21778 | Information technology – The JSON data interchange syntax | 전송 계층 (4계층) |
|
6 | ISO/IEC 20922 | Information technology –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(MQTT) v3.1.1 | 전송 계층 (4계층) |
|
7 | IETE ECMA-404 | The JavaScript Object Notation (JSON) Data Interchange Format | 전송 계층 (4계층) |
|
8 | IETE RFC 7159 | |||
9 | IETF RFC 7252 | The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(COAP) | ||
10 | SPS-SGSF-073-2-1-6255 | OpenADR 2.0A 프로파일 | 세션 계층 (5계층) |
|
11 | SPS-SGSF-073-2-1-6256 | OpenADR 2.0B 프로파일 | 세션 계층 (5계층) |
|
12 | SPS-SGSF-073-1-1 | 개방형 자동수요반응시스템 - 제1부 : 일반 요구사항 | 세션 계층 (5계층) |
|
13 | SPS-SGSF-073-1-2-6329 | 개방형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- 제2부: 수용가 기기 및 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 | 응용 계층 (7계층) |
|
14 | SPS-SGSF-1073-1-3-6330 | 개방형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- 제3 부 : 상위 시스템과 정보교환 및 통신 인터페이스 | 응용 계층 (7계층) |
정보(데이터 모델)

그룹 | 구분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---|
정보 인터페이스 | 1 | IEC 62325 | Energy market communications, based on the Common Information Model |
2 | IEC 62746 | Systems interface between customer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the power management system | |
3 | IEC 61968 | Information exchanges betwe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| |
4 | KS X 4520 | 수요반응 연계형 스마트가전 인터페이스 | |
5 | SPS-SGSF-073-2-1-6255 | OpenADR 2.0A 프로파일 | |
6 | SPS-SGSF-073-2-1-6256 | OpenADR 2,0B 프로파일 | |
7 | SPS-SGSF-073-1-1 | 개방형 자동수요반응시스템 - 제1부 : 일반 요구사항 | |
8 | SPS-SGSF-073-1-2-6329 | 개방형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- 제2부 : 수용가 기기 및 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 | |
9 | SPS-SGSF-073-1-3-6330 | 개방형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- 제3부 : 상위 시스템과 정보교환 및 통신 인터페이스 | |
갭 표준 | 1 | DR-GAP-07 | Fast DR 응동을 위한 통신 요구사항 |
2 | DR-GAP-08 | Fast DR 참조모델 및 활용사례 (유스케이스) | |
3 | DR-GAP-09 | Fast DR - 전력계통 주파수 계측을 위한 자동제어 응동 요구사항 | |
4 | DR-GAP-10 | Fast DR - 통합관제시스템 기능 요구사항 및 통신 인터페이스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