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 3.0
SmartGrid Standardization Framework 3.0
에너지 관리
에너지 관리
2.3.1 패키지 개요 및 구성도
비즈니스 패키지명 |
에너지 관리* * 에너지 사용 현황 조사, 분석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 관리 서비스 |
---|---|
가치 제안 | 에너지관리시스템(EMS)에서 수집된 에너지 분석 데이터를 통한 에너지 진단과 검증을 통하여 운영적 측면과 설비적 측면 등의 종합적인 에너지 효율화를 도모하여 에너지 수요관리를 유도할 수 있음 |
정책/제도적 준수사항 |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설치 가이드라인,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(조성사업), 에너지이용합리화법(EMS 지원, 에너지진단 등), 조세특례제한법 (에너지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), 2030 에너지효율 혁신전략등을 준수해야 함 |
중점 추진 영역 |
에너지 운영/설비적 효율화 진단 및 분석 기술 - 에너지 사용량, 절감량, 표준 데이터 추출, 빅데이터 분석 등 |
관련 시스템 유스케이스 |
(UC-DR-S06) 에너지관리시스템 (UC-DR-S07) 에너지 진단 |

2.3.2 단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
(UC-DR-B04) 에너지 효율 및 운영개선
단위 비즈니스 명 | (UC-DR-B04) 에너지 효율 및 운영개선 | |
---|---|---|
목적 | 에너지 절감 시스템으로 구축비용 대비 효과를 따져 효과가 더 큰 경 우 EMS를 구축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줄일 수 있고, 국가적으로 낭비 되는 에너지를 막음으로써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효율적으로 대처함 에 있음 | |
정보교환 및 요구사항 | 정보교환 | 요구사항 |
설비단위 정보 및 제어 요청 정보 | 설비단위 통신 API | |
상태요청 정보 |
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조회 수용가 감축 산정 |
|
모니터링 정보 |
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조회 실시간 사용전력량 모니터링 조회 |
|
실시간 사용전력량 정보 | ||
자원 감축량 산정 정보 | 수용가 감축 산정량 이행 결과 | 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 ||
모니터링 정보 | 실시간 사용전력량 검침 및 송신 | |
실시간 사용에너지량 정보 |
설비단위 통신 API 실시간 사용전력량 검침 및 송신 |
|
자원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감축 산정 수요반응자원 감축 산정 |
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설비 효율 산정 참여고객 사용량 대비 감축 산정 |
|
자원 정산내역 정보 | 세금계산서 발행, 정산금 송/수금 | |
고객 정산내역 정보 | ||
비즈니스 절차 |
|
|
사전조건 | 에너지 사용 주체가 에너지 절감에 따른 비용감소에 목적을 두고 있다.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 후 주기적인 운영 및 관리를 진행해야 한다.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 후 그 효과를 산정하여 고객에게 정보 제공을 완 료해야 한다. | |
사후조건 |
에너지 절감 검토를 하고 에너지 사용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축 완료한다. EMS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, 서비스 제공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다. 월 단위의 감축에 관해 정산정보를 확인하고 정산대금을 지급한다. |
|
연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 | - |
(UC-DR-B05) 에너지 설비개선
단위 비즈니스 명 | (UC-DR-B05) 에너지 설비 개선 | |
---|---|---|
목적 | 단위에너지 사용 주체들에 대하여 에너지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노후화 된 설비들의 에너지 사용효율이 저하되어있는 경우는 설비를 고효율 설 비로 교체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낭비되는 에너지를 막음 으로써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를 대처함에 있음 | |
정보교환 및 요구사항 | 정보교환 | 요구사항 |
설비단위 정보 및 제어 요청 정보 | 설비단위 통신 API | |
상태요청 정보 |
정산용 사용전력량 수집 참여고객 설비 효율 수집 |
|
실시간 사용전력량 정보 |
실시간 사용전력량 검침 및 송신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조회 실시간 사용전력량 모니터링 조회 |
|
변화 모니터링 정보 | ||
자원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감축 산정 수요반응자원 감축 산정 |
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
참여고객 설비 효율 산정 참여고객 사용량 대비 감축 산정 |
|
실시간 사용에너지량 정보 |
설비단위 통신 API 실시간 사용전력량 모니터링 조회 |
|
고객 감축량 산정 정보 | 수용가 감축 산정량 | |
비즈니스 절차 |
|
|
사전조건 |
절감량 산정에 의해 계량된 에너지량이 측정될 수 있어야 한다. 고효율 대체 설비가 보유되어야 하고, 2000 Toe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 하고 있는 사업장 혹은 건물을 대상으로 한다. |
|
사후조건 |
에너지 사용현황 파악을 통해 저효율 설비를 교체한다. 고효율 설비로 교체한 제품의 지속적인 효율 체크 시스템을 가동한다. 지속적인 효율 체크 시스템을 통해 정기적인 체크를 진행한다. |
|
연계 비즈니스 유스케이스 | - |
2.3.3 비즈니스 패키지-스마트그리드 아키텍처(SGAM) 매핑
[DR-03] 에너지 관리
구성요소

비즈니스(목표/목적,정책,규제)

기능

통신(프로토콜)

그룹 | 구분 | 표준번호 | 표준명 | OSI 계층 구분 |
---|---|---|---|---|
통신 인터페이스 | 1 | ISO 16484-5 |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(BACS) – Part 5: Data communication protocol | 세션 계층 (6계층) |
KSF ISO 16484-5 | 건물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-제5부 :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| |||
2 | IEEE 802.15.4 |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- LAN/ MAN Specific Requirements - Part 15: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(MAC) and Physical Layer (PHY) Specifications for Low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(WPAN) | 데이터 링크 계층 (2계층) |
|
3 | ISO/IEC 14908 | Information technology – Control network protocol — Part 1: Protocol stack | 물리적 계층 (1계층) |
|
4 | ISO/IEC 14543 | Technology - Home electronic system (HES) architecture | 표현 계층 (6계층) |
|
5 | ISO/IEC 15045 | Information technology – Home Electronic System (HES) gateway | 표현 계층 (6계층) |
|
6 | ISO/IEC 15067 | Information technology – Home Electronic System (HES) application model | 응용 계층 (7계층) |
|
7 | ISO 16484-2 |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(BACS) - Part 2: Hardware | 물리적 계층 (1계층) |
|
KS F ISO 16484-2 | 건물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- 제2부 : 하드웨어 | |||
8 | ISO 16484-3 |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(BACS) – Part 3: Functions | 데이터 링크 계층 (2계층) |
|
KS F ISO 16484-3 | 건물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- 제3부 : 기능 | |||
갭 표준 | 1 | DR-GAP-11 | OpenADR 및 BACnet 통신 인터페이스 | - |
2 | DR-GAP-12 | 에너지진단 효율화 - 빅데이터 시스템 | ||
3 | DR-GAP-13 | 에너지진단 효율화 - 리빌딩 아키텍처 및 효율 판단지표 | ||
4 | DR-GAP-14 | 기축건물 전기에너지효율화 제어 통신 요구사항 |
정보(데이터 모델)

그룹 | 구분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---|---|---|---|
정보 인터페이스 | 1 | ISO 50001 | Energy Management System |
KS A ISO 50001 | 에너지경영시스템 - 사용지침을 포함한 요구사항 | ||
2 | ISO 50002 | Energy audits -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| |
KS A ISO 50002 | 에너지진단 - 사용지침을 포함한 요구사항 | ||
3 | ISO 500015 | Energy management systems —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energy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— General principles and guidance | |
KS A ISO 50015 | 에너지경영시스템 - 조직의 에너지성과 측정 및 검증 - 일반 원칙 및 지침 | ||
4 | ISO 17741 | General technical rules for measurement, calculation and verification of energy savings of projects | |
KS A ISO 17741 | 프로젝트 에너지 절감량의 측정, 계산 및 검증을 위한 일반적인 기술 규정 | ||
5 | ISO 50004 | Energy management systems — Guidance for the implementation,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an ISO 50001 energy management system | |
KS A ISO 50004 | 에너지경영시스템 - 에너지경영시스템의 실행, 유지보수 및 개선을 위한 지침 | ||
6 | ISO 50006 | Energy management systems - Measuring energy performance using energy baselines (EnB) and energy performance indicators (ENPI) - General principles and guidance | |
KS A ISO 50006 | 에너지경영시스템 - 에너지베이스라인(ENB) 및 에너지성과지표(EnPI)를 이용한 에너지성과 측정 - 일반 원칙 및 지침. | ||
7 | IS0 50049 | Calculation methods for energy efficiency and energy consumption variations at country, region and city levels | |
8 | ISO 16484-2 |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(BACS) – Part 2: Hardware | |
KS F ISO 16484-2 | 건물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- 제2부 : 하드웨어 | ||
9 | ISO 16484-3 |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(BACS) – Part 3: Functions | |
KS F ISO 16484-3 | 건물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- 제3부 : 기능 | ||
갭 표준 | 1 | DR-GAP-11 | OpenADR 및 BACnet 통신 인터페이스 |
2 | DR-GAP-12 | 에너지진단 효율화 - 빅데이터 시스템 요구사항 | |
3 | DR-GAP-13 | 에너지진단 효율화 - 리빌딩 아키텍처 및 효율 판단지표 | |
4 | DR-GAP-14 | 기축건물 전기에너지효율화 제어 통신 요구사항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