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 3.0
SmartGrid Standardization Framework 3.0
유스케이스 방법론
유스케이스 방법론
유스케이스는 계층적 구조에 따라 BUC와 SUC로 구분될 수 있으며, 작성양식에 따라 Short, General, Detailed로 구분될 수 있다. 본 부속서에서는 작성양식보다는 계층적 구조에 따른 유스케이스에 대해서만 다룬다.
- 비즈니스 유스케이스(BUC) : 비즈니스 역할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설명하는 유스케이스
- 시스템 유스케이스(SUC) : 특정 시스템 및 비즈니스 역할이 비즈니스 유스케이스에 설명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활성화 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설명하는 유스케이스
- – 상위레벨 유스케이스 : 일반적인 액터들과 한 기능의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기술하며 특정 시스템과 아키텍처에 쉽게 매핑되기 힘든 유스케이스
- – 하위레벨 유스케이스 : 조금 더 상세한 기능과 특정 액터를 기술하며 하향식 접근법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유스케이스
- – 일반 유스케이스 : 프로젝트 또는 특정 기술이 아닌 표준화 되어 폭넓게 받아들여지는 유스케이스
- – 개인 유스케이스 : 프로젝트의 구현에서 일반 유스케이스에서부터 시작해서 개인, 회사의 특정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유스케이스
시스템 엔지니어링 개념적 접근
기존의 프레임워크와 프레임워크 3.0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개념적인 접근을 통한 방법론을 고안한다는 점이다.
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론의 V모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으로부터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도록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유스케이스를 통해 요구사항을도출하는 유스케이스 방법론은 이에 기반하고 있다.
스마트그리드라는 큰 시스템은 단순 구성요소부터 시작된 디자인을 시작하기 보다는 시스템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. 이러한 점에서 시스템의 정의를 통해 구현을 추구하는 시스템엔지니어링 공학이 접근에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
시스템 엔지니어링의 V모델
유스케이스 개발절차
유스케이스 개발절차를 통해 도출되는 사용자 요구사항
비즈니스 프로세스 대한 기능요소
사용자 선택 입력 데이터 유형
결과 유형 및 가능한 디스플레이 외관 포함 사용자 관점에서 기능
현장 데이터(전기적 노이즈가 많은 환경 등)
제어 센터 LAN 또는 조직 간 상호작용과 같은 구성 문제
가용성, 응답 시간, 지연 시간, 정밀도
업데이트된 결과의 빈도 및 기타 사용자 매개변수와 같은 성능 요구사항
기밀성, 접근 제한
고장 및/또는 침입 탐지, 고장 관리 및 기타 안전
보안 및 고장 문제와 같은 보안 요구사항
크기, 장치 수, 데이터 양, 데이터 액세스 방법, 데이터 유지보수 및 기타 데이터 관리 고려 사항과 같은 데이터 관리 요구사항
요구사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약, 법률, 규제, 안전 규칙 또는 기타 문제와 같은 제약 조건